titleimg
(주)아이센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와 앱 콘텐츠를 기반한 (주)아이센두 스마트폰 연동형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어항을 융합한 홀로아쿠아를 만든 아이센두 기업입니다.
주식
목표금액:49,999,500 원
마감일
마감 2018년 01월 13일 17:59까지
모집금액
0 원
달성률 0%
본 청약은 신청기간이 완료되어 더이상 투자할 수 없습니다.
목표액의 80% 이상 모집시 청약성공으로 배정이 진행되고, 80% 이하 모집시 청약된 금액은 펀딩 마감후+3일(영업일기준) 이내에 환불처리가 됩니다.
증권 발행정보
지분형 보통주
발행주식수 90주
현재주식수 0주

주당발행가 555,550원
발행인산정기업가치 2,000,000,000원
펀딩배정지분율 2.4 %
최소투자금액 555,550원
증권 발행일정
펀딩 시작일 17.12.14

펀딩 종료일 18.01.13

증권 발행일

증권 교부일

 

HOLOAQUA를 출시한 ㈜아이센두는?

㈜아이센두는 2015년 11월 25일 법인 설립을 하여, 연구전담부서를 보유하고 있고, 홀로그램관련 특허 출원 및 프로그램 지재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와 앱 콘텐츠를 만드는 회사로, 주제품으로는 홀로그램 미니 어항인 HOLOAQUA입니다.
HOLOAQUA는 스마트폰을 재활용 한 제품으로, 스마트폰을 연계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어항을 융합하여, 바다속 홀로그램 앱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홀로그램을 보고, 클래식 음악을 듣고, 열대어를 키우는 3가지 기능을 하면서 정서안정을 가져오고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제품으로 청소년에게 일상 속에서 홀로그램을 보면서 교육적 창의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이센두란?

아이센두란 영어로 I Scene Do입니다.
간단하게 "내가 보는 홀로그램 장면" 이라는 뜻입니다. 홀로그램은 홀로의 완전함과 그램의 그림이 합쳐진 말입니다.
그래서, 완전한 그림이란 말이죠. 공간속에서의 완전한 그림을 볼 수 있는 것이 홀로그래피입니다.

홀로그램 서비스는 홀로그램 기술 및 산업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유무형적인 분야에서 향상된 인간의 삶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홀로그램 서비스에 의해 인간은 건강한 삶과 지적인 삶 그리고 즐거운 삶을 누릴 수 있으며, 이러한 증대된 인간의 삶은 고도화된 의료, 문화, 교육, 엔터테인먼트, 에너지 그리고 보안 서비스에 의해 성취 가능합니다. 6T와 융합된 완전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투자해야 할까요?


첫번째 | 홀로그램 기술 보유

홀로그램은 빛의 반사, 굴절, 회절, 간섭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 현재는 모든 홀로그램은 빛의 반사와 굴절만을 이용한 초기단계이고, 회절과 간섭에 의한 시제품은 조금씩 나와 있으나 상용화 단계는 아닙니다.
상용화 하려면 가격과 고객이 있어야 겠죠. 중소기업기술 로드맵에 따르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산업은 홀로그램 모바일 단말이 2025년, 홀로그램 TV 수상기가 2027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거기에 대비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제품 제작기술이 필요하죠. 조금씩 준비를 해 나가는 단계입니다.


두번째 | 홀로그램을 활용한 교육용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개발

현재 개발 단계로 보다 확장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홀로그램 희귀 동식물 및 멸종공룡에 대한 콘텐츠를 제작 중에 있습니다. 이것이 내년 상반기에 개발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내년 중순 시판 할 것 입니다. 스마트폰 앱 콘텐츠로 인류의 환경과 자연보호에 대한 초점을 맞춘 것으로 교육적인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합니다.


세번째 | 빛의 회절과 간섭에 대한 연구 진행

레이저와 기타 빛을 이용하고 응용한 연구를 진행하여 유사 홀로그램과 기타 영화 마이너리티리포터, 아이언맨과 같은 영화에서 나오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홀로그램을 접목한 홀로그램을 만드는 데 주력할 예정입니다.

 

아이센두의 비전과 목표

아이디어를 구체화해서 홀로그램 제품을 만들고, 고민해온 역량들이 최대한 제품에 반영되어, 다양하고 환상적인 홀로그램 제품을 만들기 위함입니다.
“꼭 필요하다” 또는 “새로운 경험이다” 라는 평가를 사용자들이 내리고, 대다수가 만족스러운 제품을 만들어 보기 좋은 세상, 영유아 및 청소년들에게 미래의 무한한 꿈과 상상, 신기하고 재미나는 경험의 가치를 알려주고, 실생활에 편리하고 다양한 실감나는 피라미드형 3D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는 홀로그램 제품, 홀로그램 플랫폼,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교육 콘텐츠를 홀로그램화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향후, 서로 먼곳에서도 홀로그램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는 것이 최종목표입니다.

 

주요 제품 및 기술, 지식재산 소개

주요 제품으로는 피라미드가 내장된 홀로그램 미니 어항 제품인 HOLOAQUA와 골프 이미지 트레이닝과 Avatar 행동 체험 홀로그램 콘텐츠인 HOLOTOGETHER가 있습니다. 최근에 교육콘텐츠를 홀로그램화하는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기술로는 IT 기획 및 개발 25년의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고, 사물인터넷 관련 교육 4개월 448시간 수료 후 Unity 3D와 Unity에서 지원해주는 에셋들 (UGUI, Playmaker, UMA 등)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IoT 스마트골프 프로젝트 참여 및 UI 디자인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홀로그램 기술 멘토링을 수료 후 홀로그램 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여 지속적으로 홀로그램 앱 콘텐츠를 기획,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허가, 지재권, 보유기술 등으로는 특허재산권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영상 출력 방법”, “홀로그램 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영상 이용 방법”, “홀로그램 영상 표시 장치”를 출원하였고, 디자인재산권 “홀로그램 어항”을 출원하였고, 상표재산권에 “HOLOAQUA”를 출원, “HOLOTOGETHER” 를 등록하였습니다. 프로그램 지재권으로 “홀로그램을 통한 나의 가상현실 체험”, “스마트폰 증강응용기술울 이용한 홀로그램 어항”으로 프로그램 지재권을 등록하였습니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역량, 장점

현재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및 정보통신산업 진흥원 평가위원으로 활동중으로, 기술에 대한 자신감, 업무 추진력, 실행력에 대한 자부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종 홀로그램 관련 기술에 대한 지식 및 최신동향에 대한 정보를 빠짐없이 모니터링 하여, 실제 사용 준비와 미래기술에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전문성과 발전가능성 소개

'ICT 2017 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 9월 14~16일까지 참가해 스마트폰 증강응용 기술을 이용한 홀로그램 어항 'HOLOAQUA'를 소개하고, 홀로아쿠아 앱 콘텐츠를 선보였습니다.
'HOLOAQUA'란 'Hologram'과 ‘Aquarium’의 합성어입니다.
HOLOTOGETHER에서 사용하는 OpenCV를 활용한 얼굴 이미지 인식 후 자동 변환 기술이 있고, 스마트폰 앱 개발 기술로 안드로이드와 iOS 기술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일반 동영상을 피라미드형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기술로 스마트폰에 저장된 동영상을 모두 다 피라미드형 홀로그램으로 변환하는 플랫폼 적용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이센두는 일반 제품을 ICT융합 제품으로 홀로그램화하는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홀로그램은 무엇보다 빛의 굴절 및 반사에 대한 지식과 색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수막 및 레이저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고, 좀 더 광학기술이 개발 되면 홀로그램을 상용화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되기 때문에 착실히 준비를 하고 있는 준비된 회사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HOLOAQUA 제품 소개 및 상세설명

스마트폰 연동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어항을 융합한 홀로그램 어항 및 앱 콘텐츠를 통해, 실제 열대어를 기르고 바다속 홀로그램을 보고 클래식음악을 감상하며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HOLOAQUA 는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한 홀로 아쿠아의 앱 콘텐츠는 바다 속 동영상을 선택하여 피라미드형 홀로그램으로 4분할, 4분할 확대, 9분할 화면을 보여줍니다.

재생방식으로는 자동 반복재생, 순차적 반복재생, 거울모드를 제공합니다. 공유 영상을 선택시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데이터 사용이 필요 없고. 고객이 직접 만든 콘텐츠 영상을 서버에 공유 및 업로드하여 회원간에도 공유가 가능합니다. 실제 어항 속 열대어와 홀로그램 영상의 조화로운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는 바다속 홀로그램을 보고, 클래식 음악을 듣고 열대어 키우기로 정서안정을 가져오고, 홀로그램 조명에 의한 편안한 숙면을 받을수 있습니다.
HOLOAQUA는 보고 듣고 키울수 있는 3가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효과로는 홀로그램 교육을 통한 창의성이 생겨나고. 공부하는 책상, 집안이나 사무실에 실내 인테리어 장식으로 쓸 수 있고 가습효과도 있어 건조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습니다. 집 안에 버려져 있는 스마트폰 재활용을 하기에도 아주 좋습니다.



폐스마트폰 재활용 내역은 작년 폐스마트폰이 전체 1,844만대입니다.
회수.재활용 현황을 보면, 가정에서 보관하는 것이 44.3%인 818만대, 수출이 30%인 551만대, 자원재활용이 16.9% 313만대, 재사용(임대폰, 중고폰)이 7.9%인 147만대, 기타 0.8%인 15만대나 이르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보관하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 폐스마트폰 800여만대를 재활용할 수 있는 아이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HOLOAQUA는 별도의 스마트폰이 필요없는 가정에서 보관하고 있는 폐스마트폰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아이템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정책 방향, 향후 전망을 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홀로그램을 ICT 10대 핵심 기술로 선정 (ICT R&D 중장기전략, ’13. 10월) 미래창조과학부는 ’14년 8월 제2회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통해 정보통신(이하 ICT) 분야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홀로그램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홀로그램 산업 발전전략」을 확정~! 홀로그램이 차세대 영상기술로 전망되고 있으며, 미래 국가 경제를 견인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기대됨에 따라 정부부처는 ’11년부터 홀로그램 원천기술에서 상용화 기술까지 적극 지원, 육성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13년 ~ ’15년 까지 홀로그램 기술에 총 88억원 (정부출연금 66억원, 민간부담금(현금 2억원, 현물 20억원)을 투자 중이고, 홀로그램 산업은 홀로그램 기술과 기존 산업 기술 및 6T와의 융복합에 의해 창출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및 기기, 단말 그리고 시스템을 포함하는 新산업을 의미합니다.



 

홀로그램 콘텐츠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중소.중견기업 기술 로드맵 자료에 따르면, 실감형 콘텐츠 분야별 시장 전망에서는 홀로그램의 2015년 ~ 2020년간 세계 시장의 연평균 증가율은 9.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홀로그램의 세부적인 자료(Global Industry Analysts, Inc., "Holography for Industrial Applications", 2014.9.)에 따르면, 세계 홀로그램 시장은 2014년 총 182억불 수준으로 추정되며, 이 중, 의료 기기 등 산업장비가 약 115억불로 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홀로그램 기술이 발전하면서 연평균 14%씩 지속적 으로 성장하여 2020년 348억불, 2025년 743억불 규모 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2025년에는 의료기기 등 산업장비 비중은 53%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보안/인증 및 인쇄/전시 분야의 비중이 증가할 전망이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산업은 홀로그램 모바일 단말이 2025년, 홀로그램TV 수상기가 2027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홀로그램 시장은 2014년 총 3,703억원 수준으로 추정되며, 이 중, 의료 기기 등 산업장비가 약 1,894억원으로 약 50%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홀로그램 기술이 발전 하면서 연평균 10%씩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0년 8,155억원, 2025년 1조 4,394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2025년에는 의료기기 등 산업 장비 비중은 39%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보안 /인증 및 인쇄/전시 분야의 비중이 증가할 전망 이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산업은 홀로그램 모바일 단말이 2025년, 홀로그램TV 수상기가 2027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핵심 요소기술의 특성을 갖는 홀로그램 기술은 기존 산업의 근간이 되는 6T(BT, ET, IT, NT, ST, CT)와의 융복합을 통해 기존 기술의 Drawback 및 Bottleneck을 극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간의 삶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홀로그램 新산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핵심 요소 기술의 예로 도트 프린터 및 잉크젯 프린터가 있을 당시 레이저 프린터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했지만, 지금에 와서는 대부분의 기업 및 공공기관의 사무실에서는 레이저 프린터가 기본 프린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레이저 프린터의 광학 엔진은 매우 작지만, 이로 인해 프린터 산업 및 인쇄 산업이 발달될 수 있었습니다. 홀로그램 기술은 이러한 광학 기술과 같이 핵심 요소 기술에 해당되며, 홀로그램 기술에 의해 기존 산업의 활성화 및 신산업 창출이 가능합니다.

홀로그램 서비스는 홀로그램 기술 및 산업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유무형적인 분야에서 향상된 인간의 삶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홀로그램 서비스에 의해 인간은 건강한 삶과 지적인 삶 그리고 즐거운 삶을 누릴 수 있으며, 이러한 증대된 인간의 삶은 고도화된 의료, 문화, 교육, 엔터테인먼트, 에너지 그리고 보안 서비스에 의해 성취 가능합니다. 홀로그램은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시장으로 새로운 기술을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이 기술이 시장성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쟁력이 있는지 확실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전 시장조사와 철저한 검증을 통해 시장과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인 해상도, 사용 편의성 등의 기본 품질을 갖추고 있는지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합니다.



홀로그램 기술은 응용산업에 파급력이 큰 수요 미래지향적 혁신형 분야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반기술부터 응용기술까지 Total Solution 제공을 통해 홀로그램 기술을 기존산업에 융.복합하여 다양한 고부가가치 비즈니스모델 발굴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술개발 트렌드, 해외 기업들은 현재 주목하고 있는 홀로그램 기술은 3D 홀로그램으로 3D 입체영상, 울트라 HD(Ultra HD) 등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새로운 차세대 혁신 기술 레이저를 쏘아 360도에서 볼 수 있는 리얼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기술은 광학 기술의 한계로 당분간 실용화가 힘든 만큼 디지털 프로젝션과 반사 거울이나 투명막, 시각적 착시 효과를 이용해 보다 더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홀로그램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진행. 현재 아날로그 홀로그램 기술이 보안, 인증, 인쇄 등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유사 홀로그램 시장이 부각되고 있는 상태로 디지털 홀로그램 시장은 태동 단계입이다.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의 본격적인 상용화 시기는 2020년경으로 예상되며, 미국 애리조나 대학의 나세르 페이검배리언(Nasser Payghambarian) 교수 연구팀에 의하면 2020년까지 홈 3D 비디오 스크린에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시장에서 상용화된 3D 홀로그램 기술은 플로팅(Floating)방식의 홀로그램 기술로 360도에서 감상이 가능한 완전한 3D 입체영상을 보여주지는 못하며, 평면에 2차원 영상을 투영하는 유사 홀로그램 기술입니다. 플로팅 홀로그램은 물체의 영상이 바닥에 설치된 거울에 투사되고, 여기서 반사된 이미지가 45도로 기울어진 투명 막에 투영됨으로써 시각적인 착시를 일으키는 원리에 기반을 둡니다.

오래 전 개발된 기술인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으로도 관객에게 놀라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높은 호응을 이끌어 내는 것으로 보면 360도에서 관람이 가능한 리얼 홀로그램 기술의 파급력과 효과는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합니다. 초기에는 공연, 전시에 주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홀로그램은 기술 발전에 따라 제조, 게임, 화상전화, 의료 수술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3D 홀로그램이 기존의 디스플레이 기술과 차별되는 지점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요구하지 않는 투명성(Transparency)과 내추럴 유저 인터페이스(NUI)와의 접목 가능성입니다. 3D 홀로그램으로 표현된 물체를 손으로 만지거나 다른 도구로 접촉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가상공간의 사물이 실제로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인간의 동작이나 조작에 반응하는 내추럴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에 최적화된 특징입니다.



NUI가 3D 홀로그램과 접목될 경우 홀로그램 체스말을 직접 손으로 집어 움직이거나, 수술 중에 장갑을 벗지 않고도 홀로그램으로 표시된 심장이나 인간의 장기(臟器)를 손으로 돌려 가며 다른각도에서 보는 것과 같은 혁신적인 형태의 인터랙션이 가능합니다. 향후 홀로그램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과 기술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또는 비즈니스가 발굴될 것이고, 3D 홀로그램의 구현을 위해 주목받고 있는 홀로그램 기술은 디지털 홀로그램으로 실사영상및 3차원 객체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감 영상의 궁극의 기술로 각광 받고있으며 다양한 활용 서비스로의 발전이 예측되어 산업적으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일본, 유럽, 미국 등에서 홀로그래피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데, 일본은 ’22년 월드컵을 타겟으로 Holo-TV 방송 계획을 발표하고 추진중입니다. 유럽, FP7의 Real 3D 프로젝트에서 디지털 홀로그래피 의 전 분야에 대한 핵심기술을 추진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민간과 대학을 중심으로 홀로그램 융합산업의 원천기술 확보를 추진중입니다.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기존 아날로그 홀로그래피 와는 달리, 압축/전송이 용이해지며, 동영상의 구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실감 영상의 궁극의 기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광학계 필름을 사용하는 아날로그 기술과는 달리,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하는 광전자기기에 의해 획득 또는 수학적 모델에 의해 생성된 홀로그래피 프린지 패턴으로, 실사 영상 또는 3차원 객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핵심 기술은 아래와 같이 크게 디지털 홀로그래피 획득, 생성과 복원 기술, 디지털 홀로그램 신호처리 기술, 디지털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홀로그래피 기술을 전자기기 및 광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광정보처리를 통해 홀로그래피 데이터를 처리 하는 기술로 아날로그는 광학계/필름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생성/기록/디스플레이, 기록 기술로 구분합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홀로그램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 하며,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하고 있습니다.에 따라, 미국, 일본, 독일 등의 기술 선진국에서 홀로그램 관련 특허를 선점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전체 특허 출원의 40%이상 점유하고 있으며, 일본은 24%, 유럽과 한국이 각각 21%, 14%를 차지합니다. 아날로그 및 유사 홀로그램분야에서는 제품 위주의 특허가 출원되고 있으며, 디지털 홀로그램 분야에서는 원천 기술 위주의 특허 출원하고 있습니다.

아날로그 홀로그램 분야로는 레이저, 기록 매질 기술의 발전에 따른 대형 홀로그램 제작 기술, 천연색컬러 홀로그램 제작에 관한 기술 특허 유사 홀로그램 분야로는 무안경 3D, 다수 시점 제공, 다시점 동영상 처리, 눈의 피로 완화, 시점 교차 방지, 초다시점 시스템 분야 등에 관한 특허 디지털 홀로그램 분야로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제작 기술, 잡음성분 제거 기술, 실시간 재생 기술 등에 관한 특허 출원 추진중입니다.



홀로그램은 차세대 영상기술로, 미래국가경제를 견인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관련기술 전반적인 측면에서의 기술성숙도가 부족한 상황임에 따라 시장 수요 중심과 미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원천기술 개발이 동시에 요구됩니다.

현재 홀로그램 시장은 아날로그 시장과 유사 시장이 당분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수요 기반의 산업응용기술개발이 필요합니다.. 아날로그 홀로그램 제작 장비 기술개발을 통해 홀로그램 제작 용이성 확보 및 서비스 산업 활성화 요구됩니다. 유사홀로그램 영상 투영시스템, 콘텐츠 제작기술, 실사/가상영상 합성기술 등 시장수요기반의 기술 상용화 요구되고 있습니다. 향후 3D 입체 영상 수요에 대비하여 이와 관련된 핵심원천기술 확보 및 조기 상용화 전략이 요구되고, 우리나라가 기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홀로그램 패널 기술을 중심으로 콘텐츠 기술, 서비스 기술, 부품기술 등을 중심으로 기술개발 및 조기 상용화 요구가 필요합니다..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해외 업체 동향으로 해외 기업들은 초기 3차원 입체영상 시장 선점을 위해 실용화가 가능한 단말 및 서비스 모델 발굴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벤처기업인 복손(Voxon)은 박스모양의 3D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위에서 체스와 같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프로토타입 제품인 ‘복시박스(Voxiebox)’를 소개함.

헝가리의 Holografica는 완전 입체 3차원 영상이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함.

아마존은 3D 안경을 쓰지 않고도 어떠한 각도에서도 스크린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 3D 스마트폰 (파이어폰) 출시를 발표(2014. 6)함. 폴란드 기업인 레이아 디스플레이 시스템즈(Leia Display Systems)는 영국 미러(Mirror)誌와의 인터뷰에서 홀로그램 화상전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혀 관심을 모음.

이스라엘 기업인 리얼뷰 이미징 LTD(RealView Imaging LTD)는 2014년 1월 3D 홀로그램을 심장 수술 보조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힘에 따라 의료용 3D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상용화될 경우 수술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일본 파나소닉의 ‘플로팅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Floating interactive Display)’는, 유사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해 안경 없이 입체영상을 볼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4에서 선보인 바 있습니다.

 

국내 업체 동향

국내 업체 동향으로 민간 부문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홀로그래픽 패널 및 프린팅 기술 개발이 추진 중이며, 중소기업은 아날로그 홀로그램 및 유사 홀로그램 기술을 활용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및 LG전자 등에서 초다시점 및 홀로그래픽 패널, 홀로그래픽 프린터 등의 응용시스템 개발을 추진중입니다. ㈜한교아이씨 등 일부 국내 중소기업은 아날로그 홀로그램을 중심으로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를 추진 중이며, KT와 YG는 미래부와 함께 지난해 1월 홀로그램 전용관 ‘K라이브(K-live)’를 오픈하는 등 유사 홀로그램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저희 ㈜아이센두도 ICT융합제품으로 유사 홀로그램 상용화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새로운 힐링 문화와 홀로그램 3D 기술을 이끌어갈 (주)아이센두에 투자해 주세요!

첨부자료 다운로드
  • 투자설명서-아이센두.pdf
  • 2.8MB
  • 추정손익계산서-아이센두.pdf
  • 458.0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