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포인트 ]
저희 팀의 가장 큰 매력도는
하나. 많은 분야들이 섞인 비슷한 서비스들은 존재하나, 커넥티처럼 음악에만 특화된 타 어플은 아직 없다는 것.
즉, 수요가 있는 분야라는 것은 증명됐으나 완벽히 같은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경쟁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둘. 커넥티가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열정 있는 많은 뮤지션들을 위한 서비스인만큼,
뮤직비디오와 앨범을 총괄/제작해본 경험이 있는 주요 인력들로 팀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셋. 현재 한국의 K-pop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영향력과 한국 디지털 음반 시장의 규모는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한국 음악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과 요구 또한 큰 폭으로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장 상황과 시장 규모의 확장 기세에 맞물려, 대규모 기획사들의 활동 뿐 아니라
다양한 색과 장르의 한국 음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혹은 적은 자본으로 활동하는 모든 뮤지션들의 자생과 상생을 지원하고 응원하고자 하는
취지와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 문제 제기 ]
"적지 않은 수의 20, 30대 인디 뮤지션들이 음악 활동을 통해 월 10만원 수준의 수입을 벌고 있다.
각종 자료에 따르면, 인디 뮤지션 중 월 평균 수입 100만원 미만이 60% 정도 된다.
이것도 순수 음악 활동이 아니라 각자가 하고 있는 알바, 레슨 등 모두 고려한 것이다.
자기 음악 활동을 통해서 버는 돈이 수입의 10%도 안 되는 게 태반이다."
어느 기사의 한 내용입니다.
세상의 어떤 것들에도 빛과 그림자는 공존하기 마련이지만, 특히나 예술이라는 분야는 더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뛰어난 재능과 열정을 가진 예술인들, 음악인들이 많지만 ´예술가는 죽은 뒤에 유명해진다´, ´유명해지면 ...를 해도 박수를 쳐준다´는 말들이 있듯
사람들의 관심을 받기까지의 과정이 쉽지 않고, 또한 운도 굉장히 따라야 하기에 앞날을 장담할 수 없는 직업 중 하나입니다.
그에 따라 당장의 수입이 없어 생활고로 오랜 시간 고생을 하거나, 그 과정에서 자신의 꿈을 포기하는 예술가들도 셀 수 없이 많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생각해볼 의문점이 하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접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면 생활을 영위할 수 없기에
아르바이트나 직업을 찾거나 반대로 인력을 구하는 사람들은 많은데, 과연 음악이라고 해서 구인/구직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없을까요?
뮤지션들을 찾는 페이 공연(합당한 인건비를 제공하는 공연)이나, 라이브 바에서의 정기적인 공연 아르바이트,
가이드 보컬(음악을 발매하기 전 곡의 느낌을 가이드해주는 보컬)구인, 공연 무대에 설 코러스 보컬 구인,
게임이나 유튜브 영상 등에 들어갈 BGM 작곡가 구인 등, 이 외에도 크고 작은 규모의 굉장히 많은 구인/구직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음악이라는 분야가 전문성을 띄고, 타 분야들에 비해 비교적 작은 규모의 집단이기에
공식적인 구인 구직을 하는 것보다 음악을 하는 지인을 통해 알음알음으로 구인하는 경우가 매우 많으며,
그에 따라 검색이나 어플 등을 통해 찾을 수 있는 경제활동 정보가 현저히 적다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뮤지션들의 협업에 있어서도 거의 같은 양상으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하여 구인, 구직을 하는 다양한 대상자들이 직접 들이는 공수를 줄여
보다 편리하고 넓은 선택지 속에 서로가 얻고자 하는 것들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그 뿐 아니라, 뮤지션들의 생활과 작품 활동의 질을 꾸준히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고민한 결과
커넥티라는 어플리케이션과 구체적인 기능을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 해결방안 ]
이러한 고민들의 결과로, 다양한 구인/구직/재능 사이트의 시스템과 같이
뮤지션들 또한 커넥티를 통해 음악에 관련된 경제 활동들만을 모아보고, 또 자신에게 맞는 조건을 따져보고
음악적 재능을 이용해 직접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단체(행사 주최측, 공연기획팀, 기획사, 레이블, 크루 등)와 연결되거나,
보다 만족스럽고 원활한 작품 제작을 위해 필요한 조건에 따라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는 상대를 보다 효율적이고 구체적으로 찾을 수 있는 서비스를 고안하였습니다.
개인과 단체(B2C) 매칭 :
뮤지션 개개인이 본인의 음악적 기술과 인력 제공을 이용해 수익 창출, 자생을 할 수 있도록
경제활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중점적, 전문적,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로
뮤지션들이 자신의 재능으로 실질적 음악 활동과 수익 활동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개인 대 개인(C2C) 매칭 :
상품(곡)의 퀄리티를 높임으로써 효율적인 홍보 효과를 누리고, 보다 만족스럽고 원활한 작품을 발매하기 위해
뮤지션 개인이 원하는 협업 상대를 조건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또 구체적으로 찾아보고
[ 경쟁력 및 기술력, 그리고 가치 ]
기능적 차별성 및 우위성(개인 대 단체 매칭) :
뮤지션이 음반기획사, 음악관련 공연 및 프로젝트 운영자 등의 관련단체들과 컨텍하고 자신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구직사이트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같이 본인의 작업물, 약력,이력서 등을 간편하게 전송하거나,
이에 따라 관련단체들은 유명세를 타지 못 한 실력있는 뮤지션들을 발굴할 수 있는 한편,
뮤지션은 기획사나 명성 있는 단체와의 협업을 하게 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매스컴이나 매체들을 통해 대중들에게 본인을 알릴 수 있고,
단체로부터 기술이나 노동력에 대한 대가를 제공받음으로써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기술적 차별성 및 우위성(개인 대 개인 매칭) :
음악의 추상성이라는 한계를 보완한 개인 맞춤형 검색 기능
커넥티 M만의 시스템을 통해 곡을 만들 때의 느낌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항목들을 설정하고
항목별 단계 설정을 통해 곡의 느낌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상대방의 음악 작업 스타일이나 분위기를 통해 상대를 검색하고 싶을 때에
음악의 추상성이라는 한계를 보완하여 원하는 조건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도록 합니다.
[ 고객분석 ]
작성 가이드(작성 후 삭제)
우리의 솔루션을 사용할 고객을 가능한 섬세하게 기술합니다. 가능하다면 해당 고객의
피드백도 기술합니다.
1. 음악으로 경제적수익을 창출하고, 향후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싶은 뮤지션
- 본인만의 음악성과 예술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예술이라는 분야는 예술가 자신과 자신의 작품 자체가 브랜드가 되는 것으로
스스로가 직접 사업을 하는 것과 같이 타겟층에 대한 정의, 분석, 그에 따른 자신의 스타일 만들기 등의
많은 노력과 시간, 그리고 운이 필요한 일이기에 정말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당장의 경제적 이익이 따라오기 힘든 분야입니다.
그렇기에 이미 브랜드 파워와 자본을 가진 기획사에 소속되지 않은 경우, 자신의 창작물을 대중에게 널리알리거나
자신의 음악을 통해 경제적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마련입니다.
심지어 음악시장에 체계적인 구인구직시스템이 없는 현 상황에서는
개인이 직접 시간과 노력을 들여 기회를 찾는 것 또한 쉽지 않습니다.
우리의 서비스는 이러한 상황에 처한 뮤지션들을 위해 적은 비용으로도
뮤지션이 자신의 음악을 통해 수익을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본인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또한 이와 더불어 기획사나 단체 등에서 구인이나 인재 발굴을 할 때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인재를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2. 보다 높은 퀄리티의 작품 활동을 위해 협업할 아티스트를 찾는 뮤지션
- 서로 간의 교류와 콜라보를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음악을 전공하지 않아도 독학을 통해 본인만의 음악을 만들어 나가는뮤지션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뮤지션들에겐 본인의 부족한 점을 채워줄 전문가나 다른 뮤지션들과의인맥, 접점을 구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특히 비트메이킹(프로그램이나 악기 연주를 통해 음악을 만들어내는 일), 엔지니어링(믹싱, 마스터링을 통해 사운드를 다듬고 조정하는 일) 등의
기술적인 부분들을 인터넷만을 통해 개인이 독학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또 그로 인해 혼자서는 당장 원하는 수준까지의 작품을 내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우리의 서비스는 이러한 고민에 빠져있는 뮤지션들 간의 연결고리가 되어 줍니다.
프로듀서, 래퍼, 보컬, 작사가, 작곡가 등 음악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간 활발하게 소통할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아티스트들이 자신과 협업할 수 있는 다른 뮤지션들을 손쉽게 컨택할 수 있게 해주며
이때, 커넥티의 MOOD EQ 기술은 음악성향이라는 추상적개념을 보다 객관적 지표로 나타내어
자신의 음악스타일과 맞는 상대를 보다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국·내외 해당시장 분석]
작성 가이드(작성 후 삭제)
이제는 위에서 정의한 고객의 시장 규모, 시장 성장성 등을 분석하여, 우리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시장 크기가 얼마나 매력적인 지를 기술합니다.
위의 도표를 통해 2009년 이후 글로벌 디지털 음악 매출 시장이 계속 상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세계음악시장의 규모는 2016년 총 472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년보다 3.4% 증가한 규모이고,
특히 2016년 기준 세계 음악시장의 약 53%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공연 음악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될 뿐 아니라 공연음악과 디지털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 시장을 중심으로
2021년까지 연간 평균 3.5%의 성장하여 시장규모는 56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미래한국 Weekly(http://www.futurekorea.co.kr) [시장분석 음악 콘텐츠 산업의 특성과 성장] 2019.12.27
또한 2019년 상반기 110억달러(약 13조원)에 이른 세계 음원 스트리밍 시장규모도
전년동기 대비 18% 증가한 규모로,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전년동기대비 21% 증가했으며,
유료 구독 매출은 32% 증가했습니다.
출처 :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954886622654232&mediaCodeNo=257>rack=sok)
[올해 글로벌 음원스트리밍 시장규모 28조원 전망] 2019.10.18
국제음반산업협회(IFPI)가 발표한 ‘세계 음악시장 규모 및 국가별 스트리밍 순위’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음악시장 규모는 미국(34.9%), 일본(15.0%), 영국, 독일, 프랑스에 이어 6위로 집계 됐고
스트리밍 시장 규모는 3.7%로 미국(41.4%), 영국(7.7%), 독일(5.4%), 중국(5.4%),
일본(4.0%), 프랑스(4.0%)에 이은 세계 7위로 확인됐습니다.
출처 : 중앙뉴스(http://www.ejanews.co.kr) [한국, 음악시장 세계 6위 ´BTS, 부가가치효과 약 1.4조원´] 2019.9.26
2018년 방영했던 <고등래퍼2> 의 지원 모집 마감 결과 약 8000명이 신청하여
전 시즌 <고등래퍼1> 대비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원 가능한 연령을 중학교 2002년생까지 확대한 것에 맞춰 당시 1500명의 예비 고등학생이 참가 신청했을 뿐 아니라
미국, 일본, 독일 등 해외에서 참가를 신청한 지원자 또한 지난 시즌 대비 3배 이상 증가하며
고등래퍼의 열기가 국내를 넘어 해외로까지 확대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출처 : 스포츠경향 (http://m.sports.khan.co.kr/view.html?art_id=201801091631003&sec_id=540101)
[´고등래퍼2´ 4배 증가한 지원자수 여전히 뜨거운 힙합 열기]
추가로 고등래퍼 뿐만 아니라 쇼미더머니 시즌 5, 6, 7 의 지원자 수를 통해
지속적으로 언더음악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부산일보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60514000019) [´쇼미더머니5´, 9000명중 단 82명...뜨거운 힙합 전쟁 시작]
출처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70421096000005) [´쇼미6´ 역대 최다 지원자 몰려 29~30일 1차예선]
출처 : 파이낸셜 뉴스 (https://www.msn.com/ko-kr/entertainment/news/%E2%80%98%EC%87%BC%EB%AF%B8777%E2%80%99-%EA%B5%AD%EC%9E%A5-%E2%80%9C1%EB%A7%8C3%EC%B2%9C%EB%AA%85%E2%86%92140%EB%AA%85-%EC%84%A0%EB%B0%9C-%EB%9E%98%ED%8D%BC-%EA%B0%9C%EC%84%B1-%ED%95%B4%EC%B9%98%EC%A7%80-%EC%95%8A%EC%95%84%E2%80%9D/ar-BBMZ3zG) [´쇼미777´ 국장 "1만3천명 → 140명 선발, 래퍼 개성 해치지 않아"]
이처럼 전체 음악 시장 규모가 커지고, 세계 시장에서의 Kpop의 위상이 증가하며
한국 음악의 부가가치 또한 꾸준히 상승 중입니다.
그와 더불어 디지털 음악 시장의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음에 따라 유튜브나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 등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활동이 뮤지션에게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예전에 비해 비교적
음악 시장에 진입하기가 쉬워지고 있습니다.
전체 음악시장 뿐만 아니라 국내 음악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서
향후 언더그라운드 음악시장의 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 경쟁자 분석 ]
숨고(숨은 고수) :
숨고는 ㈜ 브레이브모바일에서 2015년부터 서비스 중인 전문가 매칭 서비스 플랫폼이다.숨고는 홈페이지, 혹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여 간단한 요청서를 작성하면 숨은 고수(전문가)들에게 견적서를 각각 수령하여 비교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숨고는 8가지의 카테고리에서 700종류가 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장점
1. 다양한 매칭 서비스 카테고리
2. 50만 이상의 이용자 수
3. 광고 정책 미시행으로 서비스 이용이 원활.
단점
1. 너무 많은 카테고리와 정보들로 인해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상세한 정보만을 얻기가 불편하다.
2. 간편하나 단순한 문답 형식의 요청서 양식, 직전 메세지를 저장할 수 있으나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프리랜서의 경우 문의에 대한 답변이나 견적서를 보낼 때마다 직접 내용을 수정하여 보내야하는 번거로움.
3. 레슨 카테고리 안에 음악 레슨들이 존재하지만, 뮤지션들이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단순 레슨만이 아니기에 제공하고 받을 수 있는 부분에 한계가 있다. 뮤지션들이 서로 소통을 하거나 서로의 음악적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는 쌍방향 컨택이라기 보다는, 일방적 컨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커넥티의 차별점 및 편리성 :
* 제한된 카테고리(음악 기술 관련 협업과 수익 창출)에 집중된 차별화 마케팅
* 레슨에 국한된 것이 아닌, 개인의 역량이나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합니다.
* 멀티 유저(다양한 장르와 분야를 아우르는 유저)를 위한 맞춤형 원터치 정보 전송 시스템.
X축과 y축의 조건들을 커스터마이징하여 해당 지점에 정보를 저장해놓았다가 원클릭으로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사운드 클라우드 :
사운드 클라우드는 독일의 베를린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다. 이용자는 자신이 개발한 음원이나 타인에게 허가를 받은 음원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다운받을 수 있다. 아마추어들이 자작곡을 올리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프로 아티스트들이 공식적으로 곡을 공개하거나 신곡의 프리뷰를 올리기도 한다. 어플 내의 DM 기능으로 PC를 통해 아티스트와 컨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점
1. 강력한 스트리밍 기능
2. 음원 추천 시스템(비슷한 음악, 혹은 재생했던 각 곡과 연관되거나 유사한 곡의 추천. : 내용기반 추천 시스템)
3. 1억 이상의 이용자 수
4. 빠르고 간단한 업로드 방식
5. 상세한 데이터 분석(‘Stats’ 메뉴에서 나의 어떤 곡이 일정 기간동안 얼마나 재생되었는지, 최다 이용 유저는 누구이며 어느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생되었는지 정보를 제공.)
단점
1. 메신저 기능의 한계(PC 이외에선 확인할 수 없음)와 빈약한 메신저 알림 기능
2. IOS에 특화(타 운영체제 내에서 음원의 추가정보를 확인하려면 ‘Pulse’라는 서드파티 어플을 병용해야 한다.)
커넥티의 차별점 및 편리성 :
* 모든 운영체제 이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상대의 음악적 성향과 느낌을 확인 후 손쉬운 메세지 전송을 통한 협업 제안과
간편한 대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등 보다 커뮤니티와 매칭 기능에 특화된 서비스.
[ 사업추진 계획 ]
작성 가이드(작성 후 삭제)
제일 중요한 섹션입니다.
우리의 수익모델은 무엇인지, 어떻게 고객을 창출할 것인지, 어떻게 마케팅을 진행할
것인지, 우리와 함께하는 사업 파트너는 누구인지, 어떻게 사업을 확장할 것인 지 등,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들을 기술하시기 바랍니
개인과 단체(B2C) 매칭 :
개인 대 개인(C2C) 매칭 :
이러한 관계 맵을 통하여 커넥티는 고객, 파트너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및 개선 등의 역할을 진행하며
C2C 매칭 비용과 B2C 파트너사의 공고 등록 비용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B2C, C2C 주요 이해관계자 확보 전략
단체(파트너십)
현재 상의가 된 소수의 단체들을 기반으로 구인 공고와 지원 사업 등의 정보를 수집, 업로드
사람들의 수요에 대한 수치와 근거 자료들을 기반으로 기업이나 단체에게 제안서를 발송하거나 컨택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적은 비용와 빠른 속도로 언더 뮤지션들과 기업, 기획사와의 교류 활성화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기업, 단체, 플랫폼 등에 대한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 또한 가능함을 어필합니다.
(많은 뮤지션들의 정보를 적은 비용으로 받아볼 수 있음으로써 오디션이나 면접에 드는 시간/비용이 절약됨,
단체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나 공연 등에 대한 사람들의 자발적 관심 증가와 그에 따른 홍보 효과)
뮤지션(개인)
비가시화된 뮤지션들이 수익 활동을 위한 정보를 찾거나 협업 상대를 물색할 때 주로 SNS나 웹사이트의 메세지 기능 등을 이용하거나 이미 관계를 맺고 있는 지인을 통함에 따라, SNS를 통한 마케팅을 주로 이용할 계획입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로서의 네임드나 매력을 가지고 있는 뮤지션과 함께 협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기획하여
모집 공고 영상을 제작하고 SNS에 공유하는 방식이나, 초기 유저들의 경험들이 점차 쌓여감에 따라 후기를 직접 영상화하여 SNS에 업로드할 시 그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 등을 사용합니다.
또한 온라인 뿐 아니라 대학들의 음악 동아리, 버스킹이나 공연, 축제 등의 음악과 관련된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를 직접 찾아 프로모션이나 홍보를 진행하는 방법들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고객 관계 지속을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
활동이 활발한 유저의 경우 동시다발적이고 연속적인 협업, 구인 요청을 보내거나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더욱 효과적인 플랫폼 이용을 위해 프리미엄 멤버십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가입자가 멤버십 모델을 고른 후 월/분기/연간 결제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며,
멤버십 종료일에 다른 모델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향후 예상 사업 방향
2020 10월
중소규모 음반기획사, 공연단체 컨텍
2020 11월
서비스 앱 프로토 타입 출시
실용음악 구인 사이트 및, 각종 음악 커뮤니티 홍보
프로토타입 고객 유치
2020 12월
프로토타입 고객 검증
2021년
정식 서비스 출시
국내 음악업계 구인 및 커뮤니티서비스로서
이용자 수1위 달성
2022년
대형 음반 기획사 컨텍
유명 아티스트와 콜라보 기획 진행
2023년
해외서비스 런칭
해외 유명 아티스트와 콜라보 기획 진행
[ 향후 3개년 재무추정 ]
작성 가이드(작성 후 삭제)
위 사업 추진 계획에 따라 향후 3개년의 매출, 비용, 수익표를 작성해 주세요.
개인과 단체 매칭(B2C) 예상수익
개인과 개인 매칭(C2C) 예상수익
[ 주요 인력 ]
작성 가이드(작성 후 삭제)
사업추진계획 섹션보다 더 중요한 섹션입니다.
위에서 제시한 사업을 왜 우리 팀이 해낼수 밖에 없는 지, 왜 우리 팀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지 등 팀의 역량을 어필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은지 / 기획, 디자인
시각디자인 전공, 자동차 GUI 디자이너로 실무 활동 중으로 어플 UI/UX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실용음악 비전공자로, 기획사가 없는 인디 뮤지션으로서 작사/작곡/앨범 제작 총괄 및 발매,
방송 출연 및 OST 참여 등 음악 관련 실무 경험이 있으며,
현재까지 활동 중으로 해당 분야 관련 지식이나 뮤지션들의 니즈 파악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저 뿐 아니라 많은 음악인들이 환경에 대한 아쉬움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것은 단순히 비전공자의 문제가 아닌, 전반적인 음악계의 문제라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따라서 단순 음악에 대한 흥미와 경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자본과 인맥 부족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언더 그라운드 뮤지션들이
보다 나은 생활과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서비스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음악 비전공자로서, 또 직접 용돈을 벌어 생활하는 그저 디자인과 학생으로서
음악에 대한 열정만으로 음악을 단기간 안에 스스로 작곡과 작사, 앨범과 뮤직비디오 제작, 유통과 홍보까지 마쳐낸만큼
추진력과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이라고 자부합니다.
더불어 그러한 과정 속에서, 부족한 인맥이나 자본들을 극복하기 위해 직접 필드에서 활동하고 있는 뮤지션들에게
직접 용기 있게 접촉하였고 그 결과 이전보다 훨씬 많은 음악인이나 기획자 분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열정과 노력을 통해 직접 얻어낸 많은 경험들과 소중한 인연들을 바탕으로
차별성과 경쟁력을 갖춘, 또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약력]
2015 **춘추 일러스트 기자
2015~2016 ㈜ 에스피플 디자이너
2017 ㈜ 홀리앤보 코리아 디자이너(프리랜서)
2017 ㈜ 지즐씨엔티 쇼핑백 디자이너(프리랜서)
2018~2109 ㈜ 비온코리아 디자이너(프리랜서)
2019 **대학교 학생증 디자인 우수상 수상
2019.4.11 자작곡 ‘오버프루프(Overproof)’ 음악 및 뮤직비디오 발매(기획 참여)
2019.6.4 자작곡 ‘우스워(Oops Whoa)’ 음악 및 뮤직비디오 발매(음악과 M/V 기획, 미술 감독)
2019.11.20 자작곡 ‘미스터 리플리(Mr.ripley)’ 발매(음악과 M/V 기획, 미술 감독)
2019 연세대학교 백양로 가요제 본선 입상 및 임원진 선정
2019 KBS-W 월드스타 연예대상 오프닝 뮤직 참여
2019 KBS-W 월드스타 연예대상 ‘김다희’의상 디자이너 옴므파탈 패션쇼 배경음악 참여
2019~2020 스타트업 기업 ㈜ 이런일상 BI, 웹 디자이너
2020.4.6 ~ ㈜ 블랙퍼플 자동차 GUI 디자이너(근무중)
이지수 / 영업, 마케팅
컨설팅동아리 운영하며 다수의 공모전, 프로젝트 기획 경험
창업경진대회 참여 및 스타트업 기획, 운영 경험
각종 프로젝트 기획 경험을 바탕으로, 기획,영업 및 마케팅 부문을 통해
커넥티가 모든 뮤지션들의 꿈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약력]
금융공학 전공
교내 창업경진대회 입선
컨설팅동아리 운영
현직 언더그라운드 음악업 종사
음악 실무활동중 만나게 된 인맥 활용가능
플랫폼에 활용될 기능적인 부분(MOOD EQ 등) 에 기술력 보유
단순히 음악에 관심있는것이 아닌 실제로 현장에서 활동해보며
대상으로 하는 고객들의 니즈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제 실무 경험을 토대로 시기별 전체 음악 및 언더 음악 판도 변화에 따른 니즈를 파악하며 기여하고,
제가 부족했던 플랫폼에 대한 표면적 아이디어 및 디자인이나
기능적 디자인 부분과 경영 및 실질적 운영 부분을 팀원 분들께 보완받으며
보다 높은 역량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주요 약력]
soundcloud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프로덕션 및 믹싱 마스터링 약 200곡 참여
2019.1.31 KeyJiN E.P. [Here We Go] 3번곡 New Life (Prod. HyBee) 프로듀스 및 믹싱 마스터링 참여
2019.05.20 KeyJiN E.P. [Gold Key] 전곡 믹싱 마스터링 참여, 2,4번곡 프로듀싱 참여
2019.05.30 TaeB2 E.P. [Blue : That’s me be]
5번곡 [거울] (Feat. 함모협) 믹싱 마스터링 참여
8번곡 [Finally] (Feat. Where am i, Kinoj2sly) 믹싱 마스터링 참여
2019.11.25 상혁 (SANGHYUK) E.P. [Am Ground]
2번곡 [내 자신을 원해] 믹싱 마스터링 참여
3번곡 [Driving] 믹싱 마스터링 참여
2019.11.22 MiRr 싱글 [불안] 믹싱 마스터링 참여
2019.07.13 쇼미더머니 8 비트 프로듀스 공모전 네이버 그라폴리오 데뷔
2020.02.21 BluePup 싱글
[Winter Haze] 믹싱 마스터링 참여
2020.01.24 예예빈(YEYEBEEN) E.P. [Cotton!]
2번곡 Title [조심] 믹싱 마스터링 참여
3번곡 [Serenade] 믹싱 마스터링 참여
YouTube : Sofia Chwe
2020.05.26 Falling (cover) 믹싱 마스터링 참여
2020.07.16 Imagine (cover) 믹싱 마스터링 참여
홍대 Mhood 공연 기획자 및 사운드 엔지니어
인하대 후문 빌라 빌레 쿨라 공연기획자 및 사운드 엔지니어
[ 기타 참고사항 ]
작성 가이드(작성 후 삭제)
마지막으로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 수상 실적, 언론보도 사례 등을 작성해 주세요.
작성할 내용이 없는 경우 삭제도 가능합니다.
현재 지식재산권 신청을 위한 과정이 진행 중이며,
어플의 주요 기능 화면의 디자인과 개발 또한 동시에 진행 중인 상태입니다.
어플 기획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당장은 수상 실적이나 언론 보도 등을 보유하지 않았으나
서비스 기획의 경쟁력이나 기능의 경쟁력 등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향후 전망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커넥티의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